2013년부터 미국에서 개봉되어 인기 있었던 영화를 매해 10편씩 소개해 드리고 있습니다. 오늘은 2015년 네 번째 시간으로 오늘 소개해 드릴 영화는 <인사이드 아웃>입니다. 지금부터 <인사이드 아웃> 영화 정보 및 줄거리, 등장인물, 감독, 반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사이드 아웃> 정보 및 줄거리
<인사이드 아웃>은 2015년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가 제작하고 월트 디즈니 픽처스가 개봉한 애니메이션 영화로 피트 닥터가 감독하였습니다. 이 영화는 라일리라는 이름의 11살 소녀의 마음속으로 여행을 가게 하는 혁신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한 전개로 관객들과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습니다. <인사이드 아웃>에서는 라일리의 마음속의 감정들이 의인화되어 등장합니다. 기쁨, 슬픔, 두려움, 혐오, 그리고 분노. 이 감정들은 라일리의 마음의 통제 센터인 본부로부터 그녀의 생각, 행동, 그리고 기억들을 통제하면서 라일리의 삶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영화에서는 라일리의 가족이 새로운 도시로 이사 가면서 그녀의 감정들은 혼란에 빠지게 됩니다. 기쁨과 슬픔은 라일리의 기억의 미로에서 길을 잃어버려 두려움, 혐오, 분노만 그녀의 마음 깊은 곳에 남아 그녀를 통제합니다. 기쁨과 슬픔은 라일리의 장기기억, 잠재의식, 상상력을 여행하면서 그녀를 이해하고 통제센터로 돌아가려고 노력합니다. 이 영화는 한 인간의 삶에 있어서 슬픔의 중요성, 그리고 기억과 감정의 상호작용과 같은 복잡한 주제들을 다루며 성인들과 아이들 모두의 공감을 이끌어 내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덕분에 최고 애니메이션 영화상을 포함하여 수많은 상을 받았고, 픽사에서 가장 울림이 있는 영화로 손꼽힙니다.
영화의 등장인물
영화의 등장인물은 의인화된 감정들입니다. 기쁨(에이미 폴러 목소리)은 라일리의 주된 감정 중 하나이며, 영화의 주인공입니다. 그녀는 활기차고 낙천적인 성격을 갖고 있으며 라일리를 행복하고 즐겁게 하는 일에 열의를 보입니다. 슬픔(필리스 스미스 목소리)은 라일리를 행복하게 만들려고 하는 기쁨의 노력에 방해가 되는 감정으로 보이지만 라일리의 인생에서 꼭 필요한 감정입니다. 그녀는 어둡고 우울한 캐릭터입니다. 혐오감(민디 캘링 목소리)은 거만하고 냉소적인 태도를 보이지만 코믹한 캐릭터로 라일리가 불쾌한 것들을 피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공포(빌 헤이더 목소리)는 라일리에게 잠재적인 위험에 대해 경고함으로써 그녀를 안전하게 지켜줍니다. 조심성이 많고 예민하며 다소 신경질적인 캐릭터입니다. 분노(루이스 블랙 목소리)는 라일리의 좌절과 분노를 관리하는 감정으로 라일리가 화나는 상황에서 폭발적으로 반응합니다.
픽사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온 감독 피트 닥터
<인사이드 아웃>의 감독은 피트 닥터(Pete Docter)로 그는 1968년 10월 9일 미국 미네소타주 블루밍턴에서 태어났습니다. 피트는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Pixar Animation Studios)의 설립 직후인 1990년에 입사하여 픽사의 애니메이션을 작업해 왔습니다. 첫 장편 영화였던 <토이스토리>에서는 작가이자 애니메이터로 작업하였으며, 이후에는 감독으로서 <몬스터 주식회사(2001)>, <업(2009)>, <소울(2020)> 등의 애니메이션을 연달아 흥행시키고 아카데미 애니메이션 상도 수상하였습니다. 피트의 작품은 감정적으로 깊이가 있고 창의적이며 아이들과 어른들 모두에서 매력을 선사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러한 피트의 작품은 픽사의 지속적인 성공의 원동력이 되었고,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진화에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국내 평가 반응 : 슬픔의 가치를 놓치지 않고 짚어주는 사려 깊은 시선
<인사이드 아웃>은 국내 네티즌 평점 9.05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OST, 영상미, 스토리, 연기, 연출 감상 포인트 중 관객들은 따뜻한 영상미와 흥미로운 스토리에 가장 많은 점수를 주었습니다. 아마도 눈에 보이지 않는 마음속의 감정을 의인화해서 따뜻하게 표현한 것이 관객들에게 인상적이면서 감동적으로 다가갔을 것이라 예상됩니다. 나이별 만족도를 보면 10대에서 50대까지 고루 8점 후반에서 9점 초반대의 점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애니메이션 영화답게 전 연령층에서 고루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또한 관객들은 '행복에 있어서 슬픔을 다루는 기술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영화', '픽사의 명작', '나의 마음을 차분히 들여다볼 수 있었던 영화'라고 평가하고 있습니다.